채권

    채권은 금융에서 유가 증권의 하나로 지급청구권이 표시된 채무증권이다. 채권의 종류에는 공채, 국채, 사채, 지방채 따위가 있다. 공인된 채권 발행자는 채권 보유자에게 일정한 계약기간 동안 빚을 지는 것이며, 만기일에 보유자에게 원금과 이 표를 지불해야 한다.


    매출채권

    매출채권이란 기업의 매출은 현금으로 들어오는 경우도 있지만 외상도 많다.

    상대방이 물건을 사가면서 돈을 언제 주겠다고 하고 증서를 써줄 수 있는데 이게

    바로 '받을어음' 이다.

     

    이러한 어음은 시중은행에 팔거나 다른 기업에게 넘길 수 있다.

    받을 어음 없이 외상 매출한 것을 외상매출금이라고 한다.

    받을 어음과 외상매출금을 합쳐서 매출채권이라고 한다.

     

    1) 진행기준에서 매출채권 - 건설업, 조선업

    공사 진척도에 다라 대금 청구도 가능. 청구한 금액

    중에서 회수되지 못한 금액이 매출채권. ex) 진행률 40%에서 대금을 받기로 한다.

     

    2) 인도기준에서 매출채권 - 자동차 판매업

    자동차 판매는 인도기준으로 한다. 할부로 판매해도 받기로 한 대금 총액을 

    매출로 처리한다. 기말 시점에 받지 못한 금액은 '매출채권'으로 표시


    외상매출채권

    원청업체(구매업체)가 하청업체(판매업체)에게 물품을 받고 

    원청업체(구매업체)가 은행에 채권을 주면 

    이를 담보로 은행이 하청업체(판매업체)의 대금을 지급하는 대출

    원청(구매업체)은 만기일까지 이 돈을 갚는 방식

     

    월청(구매업체)이 갚지 못하였을 때 

    은행은 이중담보 성격의 약정을 통해

    하청업체에게 상환청구권 행사 -> 협력업체에 추심

     


    전자어음

     

    전자 어음은 기존의 실물 어음과는 달리 전자문서 형태로 작성되고 전자어음을 발행하고자 하는 자가 전자어음관리기관에 등록한 약속어음을 뜻한다.

     

    전자어음 발행 방법

    1. 신분증 지참, 주거래은행 방문

    2. 당좌예금 약정 및 전자어음발행인 등록

    3. 거래은행 인터넷뱅킹 로그인

    4. 전자어음금액, 만기 일등 발행요건 등록

    5. 공인인증서 전자서명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loading